본문 바로가기

심리학35

인위성장애, 뮌하우젠 증후군 1. 뮌하우젠 증후군이란? 허위 또는 과장된 신체 증상을 보이는 정신 질환이다. 뮌하우젠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종종 자신이 심각하게 아프거나 상처를 입었다고 주장하며, 의학적 관심과 치료를 받기 위해 거짓말을 하거나 증상을 과장할 수 있다. 그들은 또한 다른 사람에게, 특히 자신이 돌보는 사람에게 주로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뮌하우젠 증후군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어린 시절 학대나 방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스트레스, 정신 질환, 신체 질환 등 다양한 요인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2. 뮌하우젠 증후군의 증상 - 허위 또는 과장된 신체 증상 - 의학적 관심과 치료를 받기 위한 거짓말이나 증상 과장 - 다양한 병원이나 의사를 옮겨 다닌다 - 의학적 검사나 치료에 불응한다 - 통증이나 고통에.. 2024. 2. 11.
혹시 나도 어른 아이? 피터팬 증후군 혹시 나도 어른 아이? 피터팬 증후군 1. 피터팬 증후군이란? 성인이 되기를 거부하고 어린이나 소년이 되기를 원하는 심리상태 또는 그러한 행동을 말한다. 어른이 된 후에도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채 어린아이와 같은 행동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책임감이 없고, 항상 불안해하며, 쉽게 현실에서 도망쳐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드는 성향을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도 '어른아이‘의 문제는 오래전부터 존재했고 세계적으로 보이는 현상이지만 2000년대 이후 국내에서도 그 증가세가 높아졌다. 피터팬 증후군의 악화로 정신과 치료를 받는 경우가 늘고 있고, 그런 자녀의 부모가 정신과 상담을 받는 사례도 늘고 있다. 1970년대 후반 미국의 20대 젊은 남성을 중심으로, 현실에 적응을 거부하거나 .. 2024. 2. 11.
공황장애 증상, 알아가는 시간 공황장애 증상, 알아가는 시간 누가 나의 이름만 불러도 심장이 쫄깃해진다면 초기 ‘공황장애’를 의심해 봐야 한다고 한다. 누군가가 나의 이름을 불렀을 때 순간 식은땀이 쫙 흐르고 ‘무슨 일로 부른 거지? ’ 싶어 심장이 크게 쿵쾅거리고 긴장이 된다면 당신은 초기 ’공황장애‘일 가능성이 높다. 의학계에 따르면 공황장애는 뚜렷한 이유도 없이 갑자기 극도의 두려움과 불안을 느끼는 불안 장애의 일종이다. 전문가들은 ”불안해서 가슴이 뛰는 건 당연하다, 그러나 가슴이 뛰니까 불안해지는 것은 병“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특정 장소에 방문하는 것이 꺼려지거나 밖으로 나가기가 싫고 작은 신체감각에도 예민해지는 건강염려증상이 생긴다면 꼭 고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렇듯 우리 일상생활조차 힘들어지는 ’공황장애‘의 초기 증상.. 2024. 2. 8.
번아웃 증후군 1. 번아웃 증후군 번아웃 증후군은 만성적 업무 스트레스에서 유래한 것으로, 일에 대한 심리적 거리가 생기거나 일에 대한 부정적 생각 혹은 냉소, 에너지 고갈 혹은 소진의 느낌, 직무 효능 감소 등을 특성으로 하는 증상이 동반된다. 번아웃은 건강에 영향을 끼치지만 세계보건기구에서 번아웃 자체를 의학 증상이나 정신질환으로 분류하지는 않는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번아웃은 직업과 관련하여 특히 발생하는 것으로, 일상의 다른 영역에서 경험을 설명하는 데에는 적용할 수 없다고 하였다. 2. 번아웃 증후군 역사 배경 ① 1974년: 허버트 프로이덴버거의 연구 1960년대 미국 사회는 사회 운동이 활발하고 개인이 자아실현 추구 및 봉사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였으며 봉사활동 전문가들의 증가와 함께 스트레스 및 탈진.. 2024. 2. 7.
공상허언증과 리플리 증후군 1. 리플리 증후군? 리플리 증후군(Ripley syndrome)이란 자신의 현실을 부정하면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허구의 세계를 진실이라 믿고 상습적으로 거짓된 말과 행동을 반복하는 가상의 정신질환이다. 미국의 소설가 퍼트리샤 하이스미스가 지은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 씨》(The talented Mr. Ripley, 1955)에서 따온 말로 '리플리병'이나 '리플리 효과'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실제로 의학계에서 병명으로 사용되는 말은 아니다. 2. 공상허언증? 사실을 왜곡해 거짓말을 하고 그 거짓말이 진실이라고 믿는 심리적 장애로, 공상허언증이 나타나는 사람들은 주로 타인에게 주목받기를 좋아하며 지나치게 높은 이상을 가지고 있다.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로 확신하거나 일어난 일을 과장하고 왜곡해서 말하.. 2024. 2. 6.
피하고 싶어, 리셋 증후군 1. 리셋 증후군 리셋 증후군은 컴퓨터가 원활히 돌아가지 않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리셋 버튼만 누르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는 것처럼 현실 세계에서도 리셋이 가능할 것으로 착각하는 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이 말은 1990년 일본에서 처음 생겨났는데, 14살의 컴퓨터 게임광이 현실과 컴퓨터 세상을 구분하지 못한 채, 벌인 초등학생 토막 살인 사건에서 유래되었다. 대한민국에선 1990년대 말부터 등장하기 시작했고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 수사대에서는 인터넷 중독의 한 유형으로 보고 있다. 리셋 증후군 환자들은 문제가 있을 때 리셋버튼만 누르면 없던 일처럼 할 수 있는 컴퓨터와 같이 현실에서 실수하거나 잘못하더라도 리셋 버튼만 누르면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증상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현상.. 2024. 2. 6.

TOP

Designed by 티스토리

loading